guard let url = URL(string: UIApplication.openSettingsURLString) else { return }
    extensionContext?.open(url, completionHandler: { (success) in
      if !success {
        var responder = self as UIResponder?
        while (responder != nil){
          let selectorOpenURL = NSSelectorFromString("openURL:")
          if responder?.responds(to: selectorOpenURL) == true {
            _ = responder?.perform(selectorOpenURL, with: url)
          }
          responder = responder?.next
        }
      }
    })

 

열기 실패시에 대한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어져 저장

나중에 찾아보자.

비교 연산자는 결과값이 False or True로 나오는 연산자이다.

 

좌항과 우항을 비교하여 Bool형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기호는 

==

!=

>

<

>=

<=

를 사용한다.

 

 

1.  == 와 != ( 같으면, 다르면)

 

a1과 b1가 각각 5와 4일경우

let a1 = 5

let b1 = 4

 

두 상수를 비교하면 

let a = a1 == b1

let b = a1 != b1 

 

같이 표현하며

a의 값은 false 가 되며 b는 true가 된다.

 

이렇게 변수에 저장하는것 보단 후에 나올 흐름제어, 조건문에서 같이 많이 사용하게 될것이다.

 

위의 예제처럼

== 는 우항과 좌항이 같을 경우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 는 우항과 좌항이  다를 경우 true를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3. > 와 < (크다면, 작다면)

 

위의 a1,b1을 재활용해서 비교해보자

a1 > b1의 값은 true이다. > 는 좌항이 우항보다 클 경우 true를 반환한다.

a1 < b1의 값은 false이다. < 는 우항이 좌항보다 클 경우 true를 반환한다.

 

4. >= 와 <= (이상, 이하)

let a2 = 5

let b2 = 10

let c1 = 5

 

일경우 

let g = a2 >= b2 // false

let h = a2 <= b2 // true

let i = a2 >= c1 // true

 

위에서 부터 

a2 가 b2보다 크거나 같은가

a2 가 b2 보다 작거나 같은가

a2 가 c1 보다 크거나 같은가 

이다.

 

 

5. Equatable

모든 값이 비교연산자가 사용가능한것이 아니다.

비교 연산자가 사용 할 수 있는 형식은 Equatable의 규칙을 따르는 데이터형만이 가능하다.

스위프트에서는 프로토콜 이라는 규칙들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고 언어에서 미리 정의해둔 규칙이다.

그런 여러 프로토콜중에 Equatable이라는 규칙이 있고 이는 좌항과 우항이 비교할때 어떤식으로 비교가 될것인가를 규정해둔 규칙이다.

이 스위프트 기본이라는 글들을 언제까지 쓰게 될지 모르겠지만 프로토콜까지 쓰게 된다면 상당히 훗날의 일이 될것이다.

이번엔 산술연산자1에 이어서 곱셈과 나눗셈을 한다.

 

1. 곱셈

곱셈은 * 를 기호로 사용한다 x가아니다.

(이전편에서부터 그러하였으나 // 는 주석이다. 앞으로 print문의 출력은 되도록 주석을 통해 적도록 하겠다.)

 

let result = 3 * 5 

print(result) // 15

 

별 다를바 없는 평범한 곱셈이다.

 

이전편의 타입을 생각해서 하자면 

두 곱은 항상 같은 타입끼리만 가능하다. ( 다른 사칙연산도 마찬가지다 )

 

데이터 타입에 대해 이야기할때 다루지 않았지만 각 타입의 변수는 저장가능한 범위가 있다.

float는 타입에 대해 이야기할때 실수인 double보다 작은 범위의 실수를 가지는 타입이다. 해당 타입의 범위가 넘어가면 제대로된 값이 담아지지않는다.

큰 수를 다루게 된다면 항상 타입의 범위에대해 생각해두자.

 

해당 범위는 이글에서 다루지 않겠다.

 

 

 

2. 나눗셈

나눗셈은 / 를 기호로 사용한다 ÷ 가 아니다.

/도 사실 타입에 따라 좀 다른식으로 계산이 된다

만약 정수형 타입의 두 수를 나눗셈을 시도했다면( ex : let b = 6 / 4 )

해당 결과는 몫만이 들어가게된다.(b는 1)

 

만약 위의 나눗셈 예제에서 몫을 제외한 나머지를 구하고싶으면 기호 % 를 사용하면된다 

ex: let c = 6 % 4 // 2

 

정수형이 아닌 실수형끼리 나눗셈을 하면 원래 나눗셈의 원하는 결과처럼 소수점까지 잘 나오게된다.

ex: let d = 6.0 / 4.0 // 1.5

 

나눗셈에서 주의할 점은 0으로 나눠서는 안된다.

예시들 처럼 숫자로 바로 표현되어서 0으로 나눠지려고 할때 눈으로 바로 알 수 있지만 

변수 끼리 나눗셈을 하게될 경우가 왕왕 생기기에 필요시 나누는 수에 대한 체크는 꼭 해야할것이다.  해당 부분은 나중에 다룰 예정이다.

 

 

3. 사칙연산 축약 

사칙 연산이 끝났다.

해당 사항을 이용해서 짧게 쓰는 축약에 대해 이야기 하려한다

swift의 문서에서는 지금 쓰려고 하는 기호를 Compund Assignment Operator라고 부른다.

복합 할당 연산자라고 부르는데

 

아래와 같다

 

두 정수 e와 t를 정의하고 

var e = 5

let t = 5 

 

e에 다가 t의 값을 더한 값을 다시 변수e에 넣으려고할때 

기존이라면 아래와 같다.

 e = e + t // 10

이런식으로 하면 우선 등식의 우측란이 먼저 계산되고 

좌측란의 e에 할당 연사자인 = 를 통해 e에 할당된다.

 

e = e + t 를 축약해보자면  e += t 와 같이 쓸 수 있다.

 

+= 는 좌측의 변수에 우측 값을 더한 값을 저장한다.

-= 는 좌측의 변수에 우측값을 빼한 값을 저장한다.

*= 는 좌측의 변수에 우측값을 곱한 값을 저장한다.

/= 는 좌측의 변수에 우측값을 나눈 값을 저장한다.

 

ex)

e와 t를 각각 5로 정의한다. e는 변수로(var) t는 상수로(변하지 않는 수 let)

var e = 5

let t = 5 

 

위에서 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계산이 진행된다면 

e += t // 5 + 5 = 10

e -= t // 10 - 5 = 5

e *= t // 5 * 5 = 25

e /= t // 25 / 5 = 5

 

print(e) // 5 

 

산술 연산자는 여기서 마무리 짓고 덤으로 적은 복합 할당 연산자도 끝이나 

다음은 비교 연산자를 다루겠다.

 

 

 

 

 

 

 

 

 

  enum Vibration {
        case error
        case success
        case warning
        case light
        case medium
        case heavy
        @available(iOS 13.0, *)
        case soft
        @available(iOS 13.0, *)
        case rigid
        case selection
        case oldSchool

        public func vibrate() {
            switch self {
            case .error:
                UINotificationFeedbackGenerator().notificationOccurred(.error)
            case .success:
                UINotificationFeedbackGenerator().notificationOccurred(.success)
            case .warning:
                UINotificationFeedbackGenerator().notificationOccurred(.warning)
            case .light:
                UIImpactFeedbackGenerator(style: .light).impactOccurred()
            case .medium:
                UIImpactFeedbackGenerator(style: .medium).impactOccurred()
            case .heavy:
                UIImpactFeedbackGenerator(style: .heavy).impactOccurred()
            case .soft:
                if #available(iOS 13.0, *) {
                    UIImpactFeedbackGenerator(style: .soft).impactOccurred()
                }
            case .rigid:
                if #available(iOS 13.0, *) {
                    UIImpactFeedbackGenerator(style: .rigid).impactOccurred()
                }
            case .selection:
                UISelectionFeedbackGenerator().selectionChanged()
            case .oldSchool:
                AudioServicesPlaySystemSound(SystemSoundID(kSystemSoundID_Vibrate))
            }
        }
    }

stackoverflow.com/questions/26455880/how-to-make-iphone-vibrate-using-swift/57162220

 

How to make iPhone vibrate using Swift?

I need to make the iPhone vibrate, but I don't know how to do that in Swift. I know that in Objective-C, you just write: import AudioToolbox AudioServicesPlayAlertSound(kSystemSoundID_Vibrate); But

stackoverflow.com

 

1에 비해 2가 짧고 2에 비해 이번 3은 더 짧을것이다.

예전에 받은 SwiftUI책을 이제서야 좀 보고있는데

이 책이 한 반절은 스위프트 언어에 대해 다룬다.

그 내용을 보고 있자니 내가 얼마나 답답하게 진행했는지 생각되어 해당 부분들을 짧게짧게 할 생각이다.

스위프트 공식 홈페이지의 기본서가 왜 그리 짧게되어 있는지 이제야 좀 알겠다. 

 

 

이번은 1에서 다뤘어야할 데이터형에 대해서 적을것이다.

실제 있는 데이터형은 무척이나 많으나 여기서는 몇가지만 적을것이고 

원래는 2번에 이어 곱셈과 나눗셈을 다뤄야하나 곱셈 나눗셈을 하기전에 데이터형을 짚고 넘어가야할듯 하여 집어 넣었다.

 

 

해당 내용에는 Int8 ,16, 32 와 같이 나뉘는 애들은 생략하겠다.

 

1. 정수

우선 기본적으로 숫자를 나타내는 정수인 Int가 있다 

1편에서 값을 저장할때는

 

공간의 형식(let / var) 공간의 이름 = 값 

 

이라고 했는데 사실 하나더 있다

 

형식 이름:데이터타입 = 값 

 

실제로는 이렇다.

 

스위프트에서는 값을 보고 이 애가 사실 타입이 무엇이겠구나 라며 추정해주며 해당 타입을 자동으로 지정해주기에 데이터타입을 적지 않았었다.

 

이 정수에서는 위의 나눗셈할때 적은 설명 그대로 정수인 몫만 구하고 나머지는 %로 구한다.

 

ex) let a:Int = 4

 

2. 실수

여기서 말하는 실수는 단순히 소수점이 포함된 수이다.

이 실수에는 타입이 두가지가 있는데

Float 형과 Double형이다.

해당내역은 값을 저장하는 범위와 상관이 있으나 일단 Double로 기억하고 나중에가서 생각하자.

 

ex) let b:Double = 0.1

 

3. 문자열

1편에서부터 사용한 문장의 형식이고 String으로 적는다.

 

ex) let c:String = "Hello world"

 

4. 문자

문장이 아닌 단 하나의 글자만을 이용할때 필요하다. Char라고 적는다

ex) let d:Character = "a"

 

String이 제공하는 함수와

Character가 제공하는 함수가 다르기에 필요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무조건 글자하나만이라고 해서 Character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5. 논리형

스위프트에서는 참과 거짓을 저장하는 타입이 따로있다.

Bool 로 적는다

 

let e:Bool = false

let f:Bool = true

 

 

6. 배열

배열은 같은형식의 여러값을 한번에 묶어놓을때 사용한다

타입은 Array<값하나의 형식> 또는 [값하나의 형식] 라고 적는다

 

1,3,5,7 이라는 수들을

let ab:Array<Int> = [1,3,5,7]

이라고 적을 수 있고

let ab:[Int] = [1,3,5,7] 로 적을 수 있다.

 

 

해당 수들을 사용하고 싶다면

ab[0]

ab[1] 이런식으로 뒤에 번호를 붙여 사용한다.

배열은 가장 앞에 있는 자리를 0번으로 부른다.

 

print(ab[0]) 

라고 하면 1이 출력된다.

 

 

7. 튜플

6의 배열은 같은 형식의 값만 묶었다면

튜플은 여러가지 값을 묶을 수 있다.

그냥 괄호로 묶으면된다

Int형숫자 4 와 Double형 숫자 3.141592 와 String형 문자열 "abcdefg"를 묶으면

let abc = (4, 3.141592, "abcdefg")

접근은 앞에서부터 0으로

숫자4를 사용하고 싶으면 abc.0 를 쓰면된다.

 

이번은 타입을 생략했는데 사실 튜플이라고 따로 뭔가 이름이 있지 않고 값에 따라 다르게 들어간다

위의 abc는

(Int, Dobule, String) 이라고 형식이 지정되었을것이다.

 

튜플은 꽤나 유용하게 쓰일수 있으나 자리수 0,1,이런식으로 부르면 

뒤에서 형식을 알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튜플은 아래와 같이도 사용가능하다.

 

let abc = (number:4 , double:3.141592 , string: "abcdefg")

대신 이렇게 적었다면

첫번째 수에 접근하고 싶으면

abc.number 이렇게 적어줘야한다.

 

8. 옵셔널

이 옵셔널은 논리형과 비슷하나 실제값을 가지고있다.

옵셔널 자체는 값이 두가지로 나눠지는데

none 과 some 이다.

실제로 사용할때는 none은 값이 nil 으로 나오고

some은 실제 값이 나오게된다.

 

값을 저장하게끔 변수를 만들었으나 이게 진짜 값이 들어갔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안전하게 값을 사용하게 만들어진 

안전장치중 하나이다.

 

이 옵셔널 형식은 거의 모든 형식에 붙일수있고 데이텨형뒤에 물음표를 붙여 지정한다.

 

실제 사용할때는 이 옵셔널을 벗기고 사용해야한다.

벗기는 방법은 느낌표를 붙여서 강제로 벗기거나

아직 다루지않은 조건문에 의해서 값이 none이 아니면, nil이 아니면 사용가능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강제로 벗길때는

 

var a:Int? = 4 

라면

let b = a!

이렇게 하면 b에는 4가 들어간다. 

 

9. 딕셔너리

6번, 배열과 유사하다.

6번에는 값이 넣은 순서대로 질서를 유지하는애라면

딕셔너리는 키값에 따라 팀을 이룬 값이다.

데이터형은 

Dictionary<키값의 형: 값의 형>

또는

[키값의 형 : 값의 형] 으로 적는다.

배열은 값을 넣은순서를, 인덱스를 넣었다면

딕셔너리는 키를 넣어서 값을 접근한다.

키가 없으면 없는 값이기에 딕셔너리는 접근시 반환되는 값이 옵셔널값이다.

 

let abe:[String:String] = [ "길동" : "111-434""길수" : "112-443"]

값을 출력할때 옵셔널을 해제하지 않으면 아래와 주석과같이 나온다.

print(abe["길동"]) // Optional("111-434")

 

- 위 줄은 그대로 적어도 동작한다 뒤에 '//'는 주석이라하여  코드에 적어놓는 메모이다. 

 

let abf:Dictionary<String,String> = [ "길동" : "111-434""길수" : "112-443"]

print(abf["길동"])

 

 

 

 

 

 

 

 

 

 

내가 효과가 있던 방법.

KalebPortillo commented on 24 Aug 2019

I was stuck in the same issue, but I coudn`t jsut start a new react-native project and migrate all files.
So what I did was:

  • Finde the file at path: node_modules/react-native/Libraries/Utilities/HMRClient.js and change the line: const MetroHMRClient = require('metro/src/lib/bundle-modules/HMRClient');
    to: const MetroHMRClient = require('../../../@react-native-community/cli/node_modules/metro/src/lib/bundle-modules/HMRClient');

Was the only thing that worked for me, the only issue is that if you reinstall de node_modules you will need to replace the line again. Because that I added this script to my package.json:

  • "postinstall": "sed -i '' \"s#metro#../../../@react-native-community/cli/node_modules/metro#g\" ./node_modules/react-native/Libraries/Utilities/HMRClient.js"

The above script takes care of the replacing for after each new npm install

 

MetroHMRClient 주소를 위처럼 변경 해주거나

원본인 require('metro/src/lib/bundle-modules/HMRClient'); 으로 바꿔보기

 

 

기본 UIImage로 바로 변환되는 파일이 아니여서 

바로 pb.image로 넣지 못하고

파일을 데이터로 변환해준다음  setData로 해당 타입과 데이터를 넣음

 

      let item = self.imageItems[indexPath.item]
      let pb = UIPasteboard.general
      pb.items = []
      do {
        let data = try Data(contentsOf: item.fileUrl)
        pb.setData(data, forPasteboardType: kUTTypePNG as String)
        if pb.image != nil {
          print("OK")
        }
      } catch let err {
        print("Error, \(err.localizedDescription)")
      }

 

그냥 pb.image로 넣는게 제일 편하다....

 

자료 소스 - https://developer.apple.com

19년도엔 iOS13버전이 50% 였으나 

1년 사이 18%로 뚝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13버전을 최소 타깃으로 잡기에는 최신기종의 지원 os버전만 보면 아직도 종종 보이는 아이폰 6+기종은 iOS12까지만 지원하기에 

최소 타깃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12버전으로 잡고 개발하는게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비율자체가 그리 큰 비율이 아니고  아이폰6s부터는 13버전까지 지원하기에 iOS13버전을 최소타깃으로 잡아도 무방합니다.

 

 

+ Recent posts